이야기의 완결성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야기 구조를 짜는데는 결함이 있는 영화.
(아마도 이것보다 훨씬 더 긴 러닝타임을 필요로 했겠지만, 개봉을 위해 쳐내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듯 하다. 감독판이 나온다면 이야기의 빠진 부분들이 분명 더 들어가겠지.)
영화는 법치권력, 미디어권력, 그리고 공권력에 의해 피해자가 되는 한 남자의 이야기.
아이러니 한 것은 이 남자는 평범한 남자였지만, 미디어의 주목을 받게 됨으로써 일약 유명인사가 되지만 결국 그가 믿었던 미디어에 다시 배신을 당하게 되면서, 영원히 도망자로 살아가야 할 운명.
그를 응원하는 모든 이들은 그에게 "도망가다 죽는 것은 도망가는게 아니야. 살아라. 도망가." 등의 말을 남긴다. 영화의 결말은 다른 영화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데, 그는 시스템에서 구원되기보다 시스템 밖으로 완전히 도망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게 된다. (의문 하나. 이는 본 아이덴터티의 결말과도 비교해보아야할 것이다. )
맞서 싸우기엔 우린 힘이 너무 약하니, 시스템의 망에 걸려 들지 않도록 최대한 피하고 도망치고, 그렇게라도 해서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감독은 생각하는 것 같은데,,, 그 생각에 동의할 수 있느냐. (의문 둘)
또한 그를 아는 모든 사람은 그가 자신이 구해 준 아이돌 스타와 잤는지를 물어본다. 이것은 미디어의 선정성을 담지하는 일반 시민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그러기엔 너무 자주 반복된다. (의문셋.)
사건을 푸는 키워드. 비틀스의 골든슬럼버. 황금빛 선잠이란 뜻으로, 가사 중에 "There is one way to go back home" 뭐, 대충 이런 가사가 나온다. 이것만으로 이 노래가 이 사건의 핵심 키워드라고 하기는 어렵지. 다만, 이것은 굉장히 수사적인 것인데, 이 선잠이 지금은 아무 것도 하지 말고 넙죽 엎드려 있으렴. 으로 바뀔 수는 있겠지.
그런 면에서 이 영화의 정서는 상당히 반동적일 수도 혹은 수세적일 수도 있을 터.
정리하면 골든 슬럼버는 "지금은 시스템을 이길 수 없어. 도망가. 도망가지 않으면 걸려들 수밖에 없어. 일단 살아 남아 있어. 그러면 너를 아는 누군가는 너를 승인해줄 거야... " 정도일까? 시스템을 이길 수 없다는 데는 동의. 하지만, 일단 살아남아 있는게 최선일까?는 부정적. 나를 아는 누군가의 승인 - 따윈 필요없어.
'골든 슬럼버'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1.01.16 골든 슬럼버